728x90
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"알림 시스템 설계"을 요약한 내용입니다.
- 알림 시스템은 단수히 모바일 푸시 알림에 한정되지 않는다.
- 알림 시스템은 모바일 푸시 알림, SMS 메세지, 이메일 세가지로 분류 할수 있다.
1단계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
- 모바일 푸시 알림, SMS 메시지, 이메일을 보내야함
- 연성 실시간(Soft Real-Time) 시스템
- 높은 부하가 걸릴시 약간의 지연은 무방
-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서 알림을 보낼 수 있음
- 사용자가 알림을 받지 않도록 설정 할 수 있어야함
- 하루에 천만건 모바일 푸시, 백만 건의 SMS 메시지, 5백만 건의 이메일 처리 가능
2단계 계략적 설계안 제시 및 동의 구하기
알림 유형별 지원 방안
- iOS 푸시 알림
- iOS에서 푸시 알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세가지 컴포넌트가 필요
- 알림 제공자: 알림을 만들어 APNS로 보내주는 주체
- 단말 토큰: 알림 요청을 보내는데 필요한 고유 식별자
- 페이로드: 알림 내용을 담은 JSON
- APNS: 애플이 제공하는 푸시 알림 전송 서비스
- iOS 단말: 푸시 알림 수신
- 알림 제공자: 알림을 만들어 APNS로 보내주는 주체
- iOS에서 푸시 알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세가지 컴포넌트가 필요
- 안드로이드 푸시 알림
- iOS와 동일하지만 APNS대신 FCM을 사용한다.
- </aside>
- SMS 메시지
- SMS을 보내기 위해서는 제3 사업자의 서비스를 많이 이용
- 대부분 사용 서비스라 이용 요금이 발생
- 트월리오, 네스모 등 서비스
- </aside>
- 이메일
- 고유 이메일 서버를 구축 할수는 있으나 사용 이메일 서비스를 많이 사용
- 전송 성공률이 높고, 데이터 분석 서비스도 제공
- 센드그리드, 메일침프 등의 서비스</aside>
- <aside> 💡 우리 회사는 NCP 서비스 사용
- 고유 이메일 서버를 구축 할수는 있으나 사용 이메일 서비스를 많이 사용
연락처 정보 수집 절차
- 알림을 보내려면 모바일 단말 토큰, 전화번호,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가 필요
- 앱을 설치하거나 처음으로 계정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
- 이메일, 전화번호는 user 테이블에 저장하고 단말 토큰은 device 테이블에 저장
- 한 사용자가 여러 단말을 가지고 있을수 있음
- 알림은 모든 단말에 전송할 경우를 고려
알림 전송 및 수신 절차
- 개략적 설계안 (초안)
- 1부터 n까지의 서비스: 각각은 마이크로 서비스, 크론잡, 분산 시스템 컴포넌트 등
- ex) 납기일 알림, 과금 알림, 배송 알림 등을 보내려는 서비스
- 알림 시스템: 알림 전송/수신 처리의 핵심
- 알림 전송을 위함 API를 제공
- 제3자 서비스에 전달할 알림 페이로드를 만들어 낸다
- 제3자 서비스: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제로 전달하는 역활
- 쉽게 새로운 서비스를 통합하거나 기존 서비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고려 해야함
- 특정 지역에서 사용할수 없을 경우를 고려 해야함
- 중국에서는 FCM을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JPush, PushY 같은 서비스를 사용 해야 함
- 1부터 n까지의 서비스: 각각은 마이크로 서비스, 크론잡, 분산 시스템 컴포넌트 등
- 단점
- SPOF(Single Point Of Failure): 알림 서비스에 서버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장애가 생기면 전체 서비스의 장애로 이어진다.
- 규모 확장성: 한 대 서비스로 푸시 알림에 관계된 모든 것을 처리하므로 데이터베이스나 캐시 등 중요 컴포넌트의 규모를 개별적으로 늘릴 방법이 없음
- 성능 병목: 알림을 처리하고 보내느 것은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일 수 있음
- 모든 것을 한 서버로 처리하면 사용자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시간에는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에 빠질 수 있음
- 개략적 설계안 (개선된 버전)
- 알림 서버 기능
- 알림 전송 API: 스팸 방지를 위해 사내 서비스 또는 인증된 클라이언트만 이용 가능
- 알림 검증 : 이메일 주소, 전화번호 등에 대한 기본적 검증
- 데이터베이스 또는 캐시 질의: 알림에 포함시킬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
- 알림 전송: 알림 데이터를 메시지큐에 넣는다.
- API 예제
- POST https://api.example.com/v/sms/send
- { "to": [ { "user_id": 123456 } ], "from": { "email": "from_address@example.com" }, "subject": "Hello, World", "content": [ { "type": "text/plain", "value": "Hello, World" } ] }
- 알림 전송되는 방법
- API를 호출하여 알림 서버로 알림을 보냄
- 알림 서버는 사용자 정보, 단말 토큰, 알림 설정 같은 메타데이터를 캐시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다
- 알림 서버는 전송할 알림에 맞는 이벤트를 만들어서 해당 이벤트를 위한 큐에 넣는다.
- 작업 서버는 메시지 큐에서 알림 이벤트를 꺼낸다
- 작업 서버는 알림을 제3자 서비스로 보낸다
- 제3자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전송
- 알림 서버 기능
3단계 상세 설계
안정성
- 데이터 손실 방지
- 알림 전송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가운데 하나는 어떤 상황에서도 알림이 소실되면 안됨
- 알림 시스템은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보관하고 재시도 매커니즘을 구형해야함
- 알림 중복 전송 방지
- 같은 알림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것을 완전히 막는 것은 가능하지 않음
- 분산 시스템의 특성상 가끔은 같은 알림이 중복되어 전송되기도 함
-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복을 탐지하는 매커니즘을 도입하고, 오류를 신중하게 처리 해야함
- 같은 알림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것을 완전히 막는 것은 가능하지 않음
추가로 고려할 컴포넌트 및 고려사항
- 알림 템플릿
- 알림 메시지 대부분은 형식이 비슷
- 알림 템플릿은 유사성을 고려하여 알림 메시지 본문을 처음부터 다시 만들 필요 없도록 해줌
- 알림 템플릿은 인자(Parameter)나 스타일, 추적 링크(tarcking link)를 조정하여 지정한 형식에 맞춰 알림을 만들어 내는 틀
- 알림 설정
- 사용자가 알림 설정을 상세히 조정할 수 있도록 알림 설정 테이블에 값을 추가
- 알림을 보내기전 해당 필드를 확인하고 전송
- 전송률 제한
-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알림을 보내지 않도록 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한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알림의 빈도를 제한하는 것
- 재시도 방법
- 제3자 서비스가 알림 전송에 실패하면 해당 알림을 재시도 전용 큐에 추가
- 같은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하면 개발자에게 통지
- 푸시 알림과 보안
- 인증된, 혹은 승인된 클라이언트만 해당 API를 사용하여 알림을 보낼 수 있다.
- 큐 모니터링
- 큐에 쌓인 아림의 개수가 너무 크면 작업 서버들이 이벤트를 빠르게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.
- 작업 서버를 증설하는 등의 대응을 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
- 이벤트 추적
- 알림 확인률, 클릭률, 실제 앱 사용으로 이어지는 비율 같은 메트릭은 사용자를 이해하는데 중요 함
수정된 설계안
- 알림 서버에 인증과 전송률 제한 기능을 추가
- 전송 실패에 대응하기 위한 재시도 기능 추가
- 전송 템플릿을 사용하여 알림 생성 과정을 단순화하고 일관성을 유지
- 모니터링과 추적 시스템을 추가하여 시스템 상태를 확인 및 개선점을 찾음
4단계 마무리
- 안정성: 메시지 전송 실패율을 낮추기 위해 안정적인 재시도 메커니증 도입
- 보안: 인증된 클라이언트만 알림을 보낼 수 있도록 appKey, appSecret등 메커니즘 이용
- 이벤트 추적 및 모니터링: 알림이 만들어진 후 성공적으로 전송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고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알림 전송의 각 단계마다 이벤트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합
- 사용자 설정: 사용자가 알림 수신 설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
- 전송률 제한: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는 빈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
728x90
'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채팅 시스템 설계 (1) | 2023.11.09 |
---|---|
뉴스 피드 시스템 설계 (0) | 2023.11.09 |
알림 시스템 설계 (0) | 2023.11.09 |
웹 크롤러 설계 (1) | 2023.11.09 |
URL 단축기 설계 (0) | 2023.11.09 |